[뉴스프라임] 남북정상 친서 교환…차기 정부 남북대화 전망은?<br /><br />■ 방송 : 2022년 4월 22일 (금) <br />■ 진행 : 성승환, 강다은 앵커<br />■ 출연 :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<br /><br />남북 정상이 친서를 주고받으면서 신뢰를 다시 확인했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친서가 따뜻한 안부 인사에 그칠지, 아니면 향후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계기가 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정대진 한라대 교수와 전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문 대통령이 그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먼저 친서를 보냈고, 이튿날 김 위원장이 답신을 했습니다. 그 내용도 공개가 됐죠, 특별히 주목할 만한 내용을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문 대통령이 "한반도 평화를 위해 마음을 함께하겠다"고 언급했고, 김 위원장은 두 정상 간의 합의문 등 성과를 강조했습니다. 향후 중요 국면에서 문 대통령이 역할을 할 가능성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북한이 최근 무력 도발을 이어왔고, 골프장과 호텔 등 남측 시설을 무단 철거하는 등 긴장감을 높여왔는데요. 이런 가운데에도 문 대통령의 친서에는 발 빠른 화답을 한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북한이 친서 교환 사실을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에는 싣지 않고, 대외용인 조선중앙통신에 공개했습니다. 어떤 의도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통상 친서 내용은 물론 교환 사실도 기밀에 부치는데, 이번엔 북한이 먼저 친서 교환 사실을 공개했습니다. 우리나라 정권 교체기에 대한 불안함, 조급함이 드러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는데요?<br /><br /> 남북 정상의 이번 친서 교환은 새로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에도 메시지를 보낸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 "남과 북이 계속해 정성을 쏟아 나간다면 얼마든지 남북관계가 민족의 기대에 맞게 개선되고 발전될 수 있다는 것이 변함없는 생각"이라고 밝혔는데요. 북한이 윤석열 새 정부에 원하는 역할이 따로 있을까요?<br /><br />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에 대한 인수위의 반응으로 윤석열 정부의 대북 기조를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한국 정권교체기와 한미 연합훈련으로 한반도 정세가 냉각될 수도 있는 분위기에 두 정상의 친서가 이런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다음 주 월요일(25일)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을 맞아 열병식이 개최될 것으로 보이는데, 혹시 김 위원장이 육성 연설로 메시지를 낼 가능성도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